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건직공무원 공부방법 및 응시자격 준비 요령 정보
    이전글/공무원공부 2015. 12. 10. 01:27
    반응형

    보건직공무원 시험 공부방법 준비요령 응시자격 및 정보
     

    문의.

    안녕하세요! 9급 보건직 공무원 시험에 대해 알아보는 사람입니다.
    시험의 난이도 및 공부 준비방법 응시자격 등이 궁금합니다.
    아직 잘 모르는 것들이 많아 보건공무원 시험에 대한 설명이나 조언좀 부탁드리고..
    관련 정보나 자료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좀 알려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친절한 답변 기다릴게요.





    답변.

    공무원 시험은 어떤직렬이든 그렇게 쉽게 볼수는 없는거 같아요..
    고령화 사회에서 정년까지 안정적인 직업인 공무원을 알아보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공무원은 각종 수당 등. 복지혜택이 좋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좋은 직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건직을 포함하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은 최소 1~2년 이상의
    시험공부 시간 (기간)을 가지고 공부를 준비하는 편입니다.
    보건공무원 같은 경우 빠르면 1년 늦으면 1년 이상의
    시간을 들여 공부 및 여러 준비를 한 뒤에 시험을 보는 편입니다.
    시험의 시행처나 매해 난이도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풀이능력을 기르고 이론학습에 열중하는게 시험준비를 하는게 좋습니다.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이런 차이는 당연히 없앨 수 있습니다. 
     
    9급 보건직 공무원 관련 정보를 드리자면..
     
    보건직 시험과목은 총 5과목으로
    국어,한국사,영어,공중보건,보건행정 입니다.
    또한 응시자격은 특별한 학력,성별,자격에 대한 제한이 없구요.
    단, 9급은 만 18세이상 부터 응시할 수 있습니다.
     
    또, 시험시행처와 근무지에 따라 시험을 치르는 방법이 다른데요.
    국가직/지방직(서울시포함) 으로 나뉘어 집니다.
     
    지방직의 경우, 해당지방에 해당하는 근무처에서 일을 하게되므로
    응시 시, 거주지 제한이 있기때문에
    9급 보건직공무원 지방직 시험을 알아보고 계신다면
    한번 더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더 자세한 보건직 시험 관련 정보나 준비방법 공부계획 등등
    아직 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방법이나 내용, 공부자료 등이 부족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준비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 모두
    아래 온라인 공무원 정보자료 지원센터를 통하여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그외의 문의.


    보건직공무원에 관심이많아서

    찾아보고있는데 인터넷으로는 형식? 적인

    이야기만있는거같아서요.. 

    구체적으로 여자 9급 보건직공무원이하는일은

    무엇인가요???







    답변.


    1. 시군구의 경우에 보건직은 사회복지과 혹은

    보건소에서 근무를 합니다.


    2. 여자라 해서 다른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설령

    간호직이라 하더라도 남녀의 구별은 없습니다.


    3. 보건직은 사회복지과에서는 공중위생 / 식품

    위생과 관련한 업무를 보게 되고


    4. 보건소에서는 방역 / 전염병예방과 관련한 업무를

    보게 됩니다. 메르스 사태에 무척 바빳지요.


    5. 더 이상이 필요할지 모르겠지만 간단히 예를

    들어 설명하지요.

    가. 공중위생 : 다중집합시설(목욕탕 여관 등)의

    인허가에서 지도 및 단속을 합니다.

    나. 식품위생 : 식품접객업소(식품제조업체 식당

    등)의 인허가에서 지도단속을 합니다.

    다. 방역 : 공공의 영역에 직접 소독하고 수질관리

    를 합니다. 방역취약 지역 및 시설에 지도와 지원

    라. 전염병예방 의료적 처치는 의사와 간호사의

    영역이지만 전염병에 대한 대비와 사후적 대처함.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